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BOJ(백준)

[ 백준-17837번 / ] 새로운 게임2 (삼성SW)

by 뎁꼼 2020. 3. 31.

1. 문제


 

 

17837번: 새로운 게임 2

재현이는 주변을 살펴보던 중 체스판과 말을 이용해서 새로운 게임을 만들기로 했다. 새로운 게임은 크기가 N×N인 체스판에서 진행되고, 사용하는 말의 개수는 K개이다. 말은 원판모양이고, 하나의 말 위에 다른 말을 올릴 수 있다. 체스판의 각 칸은 흰색, 빨간색, 파란색 중 하나로 색칠되어있다. 게임은 체스판 위에 말 K개를 놓고 시작한다. 말은 1번부터 K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고, 이동 방향도 미리 정해져 있다. 이동 방향은 위, 아래, 왼쪽, 오른쪽

www.acmicpc.net

새로운 게임 2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은 사람정답 비율

0.5 초 512 MB 2283 962 626 42.614%

문제

재현이는 주변을 살펴보던 중 체스판과 말을 이용해서 새로운 게임을 만들기로 했다. 새로운 게임은 크기가 N×N인 체스판에서 진행되고, 사용하는 말의 개수는 K개이다. 말은 원판모양이고, 하나의 말 위에 다른 말을 올릴 수 있다. 체스판의 각 칸은 흰색, 빨간색, 파란색 중 하나로 색칠되어있다.

게임은 체스판 위에 말 K개를 놓고 시작한다. 말은 1번부터 K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고, 이동 방향도 미리 정해져 있다. 이동 방향은 위, 아래, 왼쪽, 오른쪽 4가지 중 하나이다.

턴 한 번은 1번 말부터 K번 말까지 순서대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한 말이 이동할 때 위에 올려져 있는 말도 함께 이동한다. 말의 이동 방향에 있는 칸에 따라서 말의 이동이 다르며 아래와 같다. 턴이 진행되던 중에 말이 4개 이상 쌓이는 순간 게임이 종료된다.

  • A번 말이 이동하려는 칸이
    • 흰색인 경우에는 그 칸으로 이동한다. 이동하려는 칸에 말이 이미 있는 경우에는 가장 위에 A번 말을 올려놓는다.
      • A번 말의 위에 다른 말이 있는 경우에는 A번 말과 위에 있는 모든 말이 이동한다.
      • 예를 들어, A, B, C로 쌓여있고, 이동하려는 칸에 D, E가 있는 경우에는 A번 말이 이동한 후에는 D, E, A, B, C가 된다.
    • 빨간색인 경우에는 이동한 후에 A번 말과 그 위에 있는 모든 말의 쌓여있는 순서를 반대로 바꾼다.
      • A, B, C가 이동하고, 이동하려는 칸에 말이 없는 경우에는 C, B, A가 된다.
      • A, D, F, G가 이동하고, 이동하려는 칸에 말이 E, C, B로 있는 경우에는 E, C, B, G, F, D, A가 된다.
    • 파란색인 경우에는 A번 말의 이동 방향을 반대로 하고 한 칸 이동한다. 방향을 반대로 한 후에 이동하려는 칸이 파란색인 경우에는 이동하지 않고 방향만 반대로 바꾼다.
    • 체스판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파란색과 같은 경우이다.

다음은 크기가 4×4인 체스판 위에 말이 4개 있는 경우이다.

체스판의 크기와 말의 위치, 이동 방향이 모두 주어졌을 때, 게임이 종료되는 턴의 번호를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체스판의 크기 N, 말의 개수 K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체스판의 정보가 주어진다. 체스판의 정보는 정수로 이루어져 있고, 각 정수는 칸의 색을 의미한다. 0은 흰색, 1은 빨간색, 2는 파란색이다.

다음 K개의 줄에 말의 정보가 1번 말부터 순서대로 주어진다. 말의 정보는 세 개의 정수로 이루어져 있고, 순서대로 행, 열의 번호, 이동 방향이다. 행과 열의 번호는 1부터 시작하고, 이동 방향은 4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1부터 순서대로 →, ←, ↑, ↓의 의미를 갖는다.

같은 칸에 말이 두 개 이상 있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출력

게임이 종료되는 턴의 번호를 출력한다. 그 값이 1,000보다 크거나 절대로 게임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제한

  • 4 ≤ N ≤ 12
  • 4 ≤ K ≤ 10

예제 입력 1 복사

4 4 0 0 2 0 0 0 1 0 0 0 1 2 0 2 0 0 2 1 1 3 2 3 2 2 1 4 1 2

예제 출력 1 복사

-1

 

2. 소스코드


- queue를 2차원 배열로 생성하고 queue에 핀을 넣음으로써 높이를 만듦.

- 해당 핀을 움직이기 위해 queue에 있는 핀이 나올때 까지 pop, push_back을 반복.

- 그러나 다음칸이 파란색or범위초과이고, 방향을 바꾼 후에도 파란색or범위 초과인 경우 핀은 움직이지 않는데, queue를 원복시키지 않아서 디버깅에 애먹었던 문제.

- 예상 시간 복잡도

1) 입력 : O(N^2)

2) 핀 움직임 : 한 큐에 있는 핀은 최대 3개(4개인 경우 종료되므로) O(3) x 10 (최대 핀 갯수)

3) 최대 1000턴

 

(1) + (2) x 1000 = O(N^2) + O(3000) = O(196 + 3000) = O(상수)

 

#pragma warning (disable : 4996)

#define BLUE 2
#define RED 1
#define WHITE 0

#include <iostream>
#include <queue>
#include <tuple>
#include <stack>

using namespace std;

const int pSize = 14;
int map[pSize][pSize];
int n, pinNum, time;

int dx[] = { 0, 0,0,-1,1 };
int dy[] = { 0, 1,-1,0,0 };

queue <int> queMap[pSize][pSize]; // pinNum만 저장
vector<tuple<int, int, int>> pinInfo;
 
void Simulation() {
	for(time = 1; time <= 1000; ++time){
		for (int curPin = 1; curPin <= pinNum; curPin++) {
			//pin info 세팅
			int x = get<0>(pinInfo[curPin]);
			int y = get<1>(pinInfo[curPin]);
			int dir = get<2>(pinInfo[curPin]);
			int queSize = queMap[x][y].size();

			// pin이 있는 que로 가서 pin을 가장앞으로 꺼냄
			while (queMap[x][y].front() != curPin) // pinNum이 아니면...
			{
				auto temp = queMap[x][y].front(); // 빼고
				queMap[x][y].pop();
				queMap[x][y].push(temp); // 넣는다
				queSize--; // curPin앞에 있었던 핀의 개수
			}
			// 이제 다음칸으로 이동해본다.
			int nx = x + dx[dir];
			int ny = y + dy[dir];

			//1. 다음칸 = 파랑(범위초과)
			bool blue = false;
			if (nx >= n or ny >= n or nx < 0 or ny < 0 or map[nx][ny] == BLUE) {
				//일단 뭘하든 방향은 바꾼다.
				if (dir % 2 == 0) dir--;
				else dir++;
				get<2>(pinInfo[curPin]) = dir;
				blue = true;
			}
			//방향 바꾼후 다음칸 위치
			nx = x + dx[dir];
			ny = y + dy[dir];
			// 파랑-파랑인 경우 PASS
			if (blue and (nx >= n or ny >= n or nx < 0 or ny < 0 or map[nx][ny] == BLUE)) {

				while (queSize--)
				{
					auto temp = queMap[x][y].front(); // 빼고
					queMap[x][y].pop();
					queMap[x][y].push(temp); // 넣는다	 
				}
				continue;
			}
			//2. 다음칸 = RED
			else if (map[nx][ny] == RED) {
				//현재 위치의 큐에서 뒤집기 위해 stack에 삽입
				stack <int> tempPin;
				for (int i = 0; i < queSize; i++) {
					tempPin.push(queMap[x][y].front());
					queMap[x][y].pop();
				}
				// 뒤집은거 넣으면서 좌표도 갱신
				while (!tempPin.empty())
				{
					queMap[nx][ny].push(tempPin.top());
					get<0>(pinInfo[tempPin.top()]) = nx;
					get<1>(pinInfo[tempPin.top()]) = ny;
					tempPin.pop();
				}
			}
			//3. 다음칸 = WHITE
			else if (map[nx][ny] == WHITE) {
				for (int i = 0; i < queSize; i++) {
					queMap[nx][ny].push(queMap[x][y].front());
					get<0>(pinInfo[queMap[x][y].front()]) = nx;
					get<1>(pinInfo[queMap[x][y].front()]) = ny;
					queMap[x][y].pop();
				}
			}
			//검사
			if (queMap[nx][ny].size() >= 4)
				return;
		}
	}
	return;
}

int main()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ptr);
	cout.tie(nullptr);

	cin >> n >> pinNum;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cin >> map[i][j];
		}
	}

	pinInfo.push_back(make_tuple(0, 0, 0));
	for (int i = 1; i <= pinNum; i++) {
		int x, y, dir;
		cin >> x >> y >> dir;
		pinInfo.push_back(make_tuple(x - 1, y - 1, dir));
		queMap[x - 1][y - 1].push(i);
	}

	Simulation();

	if (time > 1000) cout << -1 << '\n';
	else cout << time << '\n';
 
	return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