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
3190번: 뱀
문제 'Dummy' 라는 도스게임이 있다. 이 게임에는 뱀이 나와서 기어다니는데, 사과를 먹으면 뱀 길이가 늘어난다. 뱀이 이리저리 기어다니다가 벽 또는 자기자신의 몸과 부딪히면 게임이 끝난다. 게임은 NxN 정사각 보드위에서 진행되고, 몇몇 칸에는 사과가 놓여져 있다. 보드의 상하좌우 끝에 벽이 있다. 게임이 시작할때 뱀은 맨위 맨좌측에 위치하고 뱀의 길이는 1 이다. 뱀은 처음에 오른쪽을 향한다. 뱀은 매 초마다 이동을 하는데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
www.acmicpc.net
뱀 성공
한국어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은 사람정답 비율
1 초 | 128 MB | 21563 | 7442 | 5038 | 33.580% |
문제
'Dummy' 라는 도스게임이 있다. 이 게임에는 뱀이 나와서 기어다니는데, 사과를 먹으면 뱀 길이가 늘어난다. 뱀이 이리저리 기어다니다가 벽 또는 자기자신의 몸과 부딪히면 게임이 끝난다.
게임은 NxN 정사각 보드위에서 진행되고, 몇몇 칸에는 사과가 놓여져 있다. 보드의 상하좌우 끝에 벽이 있다. 게임이 시작할때 뱀은 맨위 맨좌측에 위치하고 뱀의 길이는 1 이다. 뱀은 처음에 오른쪽을 향한다.
뱀은 매 초마다 이동을 하는데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
- 먼저 뱀은 몸길이를 늘려 머리를 다음칸에 위치시킨다.
- 만약 이동한 칸에 사과가 있다면, 그 칸에 있던 사과가 없어지고 꼬리는 움직이지 않는다.
- 만약 이동한 칸에 사과가 없다면, 몸길이를 줄여서 꼬리가 위치한 칸을 비워준다. 즉, 몸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사과의 위치와 뱀의 이동경로가 주어질 때 이 게임이 몇 초에 끝나는지 계산하라.
입력
첫째 줄에 보드의 크기 N이 주어진다. (2 ≤ N ≤ 100) 다음 줄에 사과의 개수 K가 주어진다. (0 ≤ K ≤ 100)
다음 K개의 줄에는 사과의 위치가 주어지는데, 첫 번째 정수는 행, 두 번째 정수는 열 위치를 의미한다. 사과의 위치는 모두 다르며, 맨 위 맨 좌측 (1행 1열) 에는 사과가 없다.
다음 줄에는 뱀의 방향 변환 횟수 L 이 주어진다. (1 ≤ L ≤ 100)
다음 L개의 줄에는 뱀의 방향 변환 정보가 주어지는데, 정수 X와 문자 C로 이루어져 있으며. 게임 시작 시간으로부터 X초가 끝난 뒤에 왼쪽(C가 'L') 또는 오른쪽(C가 'D')로 90도 방향을 회전시킨다는 뜻이다. X는 10,000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방향 전환 정보는 X가 증가하는 순으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게임이 몇 초에 끝나는지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6 3 3 4 2 5 5 3 3 3 D 15 L 17 D
예제 출력 1 복사
9
예제 입력 2 복사
10 4 1 2 1 3 1 4 1 5 4 8 D 10 D 11 D 13 L
예제 출력 2 복사
21
2. 소스코드
1회차 - 20/03/17
- deque를 이용해 쉽게 구현함. 이동하는 경우 deque 앞에 (x, y)를 삽입. 사과를 먹는 경우 꼬리 (x, y)를 그대로 두고, 사과를 먹지 않는 경우에는 deque 뒤에서 (x, y) 제거.
#pragma warning (disable : 4996)
#include <cstdio>
#include <queue>
#include <deque>
#define MAX 100
#define APPLE 1
#define BODY 2
using namespace std;
int map[MAX][MAX];
int dx[] = { 0,-1,0,1 }; // 좌 상 우 하
int dy[] = { -1,0,1,0 };
int n, nLine, nApple, time;
queue <pair<int, int>> cmd;
void play() {
int dir = 2;
bool cmdIng = false;
pair<int,int> curCmd;
deque<pair<int, int>> snake;
map[0][0] = BODY;
snake.push_back({ 0,0 });
while (++time)
{
if (!cmd.empty() and !cmdIng ) {
curCmd = cmd.front(); cmd.pop(); cmdIng = true;
}
auto head = snake.front();
int nx = head.first + dx[dir];
int ny = head.second + dy[dir];
if (nx >= n or ny >= n or nx < 0 or ny < 0) return;//map을 벗어나는 경우 return;
if (map[nx][ny] == BODY) return; // 다음칸이 뱀의 몸통인경우 return;
snake.push_front({ nx,ny }); // head 갱신
if (map[nx][ny] != APPLE){
auto tail = snake.back(); snake.pop_back();
map[tail.first][tail.second] = 0;
}
map[nx][ny] = BODY;
if (curCmd.first == time) { //방향 전환 time인 경우
if (curCmd.second == 'L') dir = (--dir + 4) % 4;
else dir = ++dir % 4;
cmdIng = false;
}
}
}
int main() {
scanf("%d %d", &n, &nApple);
for (int i = 0; i < nApple; ++i) {
int col, row;
scanf("%d %d", &col,&row);
map[col - 1][row - 1] = APPLE;
}
scanf("%d", &nLine);
for (int i = 0; i < nLine; ++i) {
int time;
char dir;
scanf("%d %c", &time, &dir);
cmd.push({ time, dir });
}//end input
play();
printf("%d", time);
return 0;
}
2회차 - 20/05/10
- 구현하고나니 딱히 첫 소스와 다른 점이 없었다.
- deque 뿐만 아니라 list로 구현할 수 도 있다. deque를 단지 list로 바꿔주면 됨.
- deque가 느릴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이 있었다. container간 특성을 잘 몰랐기 때문인데, 이를 정리해보았다.
[ STL ] vector 컨테이너
1. vector란 - vector는 array와 유사하다. 원소를 연속적인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게 생각보다 중요함. - 연속적으로 저장하기에, 지역성에 의한 캐쉬 효율이 좋을 수 있다. - array와는 달리 동적으로 me
developingbear.tistory.com
'알고리즘 > BOJ(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14891번 / ] 톱니바퀴 (삼성SW) (0) | 2020.03.17 |
---|---|
[ 백준-14890번 / ] 경사로 (삼성SW) (0) | 2020.03.17 |
[ 백준-13460번 / ] 구슬 탈출2 (삼성기출) (0) | 2020.03.16 |
[ 백준-14888번 / ] 연산자 끼워넣기 (삼성SW) (0) | 2020.03.16 |
[ 백준-14503번 / ] 로봇 청소기 (삼성SW) (0) | 2020.03.13 |